해선뉴스

미래가치컨설팅

해선뉴스

해외선물 사이트 안전거래 신청

美 거리를 배회하는 '푸드플레이션' 유령...트럼프 한발 물러설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미래가치컨설팅
댓글 0건 조회 0회 작성일 25-01-20 15:30

본문



[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을 앞두고 미국의 식료품 가격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예고한 관세와 반(反)이민 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이 재점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진 상황에서 미국 가계의 장바구니 물가 고통이 벌써부터 커지고 있다고 현지시간 19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짚었다.
지난 주 미국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12월 미국의 식료품 물가는 전년 동월에 비해 1.8% 상승, 1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월비 상승률은 0.3%로 11월치 0.4%에서 다소 둔화했지만 여전히 연율로는 4%에 가까운 상승 속도다.
CPI로 계산한 미국의 식료품 가격은 5년전에 비해 28% 비싸다. 전체 소득 혹은 총 지출에서 식료품 비중이 높은 가계(엥겔 계수가 높은 계층)의 부담이 많이 커져 있다.
최근에는 조류 독감으로 폐사한 닭들이 늘면서 계란 공급이 줄었다. 커피와 코코아 원두 등의 국제시세는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이런 흐름은 시차를 두고 가공 식품(냉장식품, 시리얼, 커피음료 등)의 가격을 밀어올리게 된다.
미국의 식품업체 코나그라 브랜즈의 숀 코놀리 대표(CEO)는 "아무도 제품 가격을 올리고 싶지 않지만 원가 비용이 오르면 (판매)가격도 따라오르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코나그라 브랜즈는 최근 계란과 닭고기 가격 상승으로 냉동식품 판매가를 인상할 요인이 생겼지만 당장은 원가 상승분을 자체적으로 흡수할 생각이다.
쵸콜릿과 캔디를 생산하는 제과업계의 부담도 커졌다. 코코아와 설탕 가격 상승으로 허쉬와 몬델레즈 등은 몇 차례 판매 가격을 인상했지만 소비자 저항 때문에 원가 상승분을 온전히 전가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비만치료 열풍으로 제과류 매출이 주춤해진 상황에서 손익 압박이 커지고 있다. 저소득층 가정에서는 아이들의 군것질거리가 더 이상 푼돈이 아니다.



[출처]

해외선물 안전업체 컨설팅 받아보기

미래가치컨설팅 안전업체 서비스를 통해 고객신뢰를 구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