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선뉴스

미래가치컨설팅

해선뉴스

해외선물 사이트 안전거래 신청

'트럼프 2.0' 체제에서 중국의 대미 투자 감소는 지속될 듯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미래가치컨설팅
댓글 0건 조회 0회 작성일 25-01-21 16:30

본문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 이후로도 중국 기업의 대미(對美) 투자 감소세는 지속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라고 경제매체 CNBC가 20일 보도했다.
중국의 대미 투자는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출범했던 2017년 이후 빠르게 줄어들기 시작했다. 이런 추세는 20일 출범한 트럼프 집권 2기 동안에도 뒤바뀔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에널리스트들은 입을 모았다.
미국기업연구소(AEI: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대미 투자액은 2023년 25억 달러에서 작년 22억 3000만 달러로 줄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를 시작한 2017년의 468억 6000만 달러와 비교하면 큰 차이가 난다.
한때 중국기업은 스미스필드 푸즈, 왈도프 아스토리아호텔 매입 등 미국 자산 인수에 열을 올렸다. 컨설팅회사 로듐 그룹에 따르면 2016년 중국기업의 대미 직접 투자액은 1년 동안 3배가 급증하기도 했다.
로듐 그룹(Rhodium Group) 선임 연구원인 다니엘 고는 이메일로 "2017년 트럼프 취임 후 중국 당국이 자본 해외 유출 규제를 강화하고 미국이 일부 산업에서 중국 투자를 견제하기 시작하면서 대미 투자는 하향 곡선을 그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까운 장래에 중국의 대미 투자가 2016년~2017년 피크 시기 수준으로 회복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했다. 나아가 중국 기업이 자산 매입보다는 미국 기업과 소규모 합작에 나서거나 아니면 토지 매입에서 공장 건설 등 사업을 처음부터 구축하는 방식인 "그린필드" 투자를 할 것으로 내다봤다.
소규모 합작 사례로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 EVE 에너지가 미국 엔진회사 커밍스의 악살렐라, 다임르 트럭, 팩카(PACCAR)가 참여한 합작 벤처에 10% 지분을 투자한 것을 들 수 있다. 미시시피주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고 2027년부터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트럼프는 선거운동 기간 중 모든 중국산 수입 제품에 60%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합성마약 펜타닐의 미국 유입이 멈출 때까지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를 두고 미국 싱크탱크 랜드(RAND)의 이코노미스트 라픽 도사니는 저가 중국 제품만 미국에 들어오게 하겠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실제 미중상공회의소(U.S.-China Chamber of Commerce)는 코로나 19 팬데믹 후 제조업보다는 주로 중국의 이커머스 업체들의 지역 사무소 개설을 지원했다고 시바 얌 미중상공회의소 회장은 설명했다.
[출처]

해외선물 안전업체 컨설팅 받아보기

미래가치컨설팅 안전업체 서비스를 통해 고객신뢰를 구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