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방어 전면전 나선 亞 신흥국, 스리랑카 전철 '경고'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한국부터 인도네시아까지 아시아 신흥국이 환율 방어를 위한 전면전에 나선 가운데 월가에서 경고음이 쏟아지고 있다. 외환보유액이 급속하게 줄어들다가 스리랑카와 같은 위기 상황을 맞게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월20일(현지시각) 취임 첫 날 관세 폭탄을 터뜨리지 않으면서 달러화 강세 흐름에 브레이크가 걸렸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약달러 흐름이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재정 정책의 뒷받침이 없는 상태로 중앙은행이 외환보유액에 의존한 통화 방어가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는 지적이다.
◆ 환율 방어 물불 안 가린다 = 아시아 신흥국 중앙은행의 환율 방어가 점차 전통적인 노선을 벗어나고 있다고 시장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실제로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원자재 업계에 해외에서 창출하는 모든 이익을 국내로 송금할 것을 주문했다.
루피아화가 달러화에 대해 가파르게 하락, 과거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 수준에 근접한 데 따른 대응책이다.
1월23일 장중 기준 달러/루피아 환율은 1만6000루피아 선까지 올랐다. 바클레이스는 보고서를 내고 일차적으로 환율이 1만6800루피아 선을 시험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환율이 1998년 6월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 수준까지 오를 수 있다는 얘기다.